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57)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 ( 假定 )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성찰 속에는 하나의 근본적 신념이 나타나 있다. 이 신념이란, 궁극적으로 실재 ( 實在 )는 우리의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많은 구체적 · 개체적인 사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사람과 동물과 식물, 막대기와 돌덩이, 산과 강과 바다, 해와 달과 별 등등 한이 없듯이 사물들은 얼마든지 있다. 이러한 많은 사물들을 가장 본래적 의미에서 실 재적이라고 주장하였던 것이며, 파생적 의미에서는 이러한 사물들의 여러 성질이나 그들 사이의 여러 관계, 혹은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그 밖의 상 태나 양상들도 역시 실재적이라는 것이다. 이 신념은 자기보다 먼저있었던 사람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트라키아의 스타게이라 출신으로 마케 도니아 왕의 시의 ( 侍醫 ) 니코마코스의 아들이었다. 16 세 때 플라톤의 아카데미에 들어가서 20 년 후 플라톤이 별세할 때까지 여기서 공부를 제속하였다. B. C. 343 년에 마케도니아의 젊은 왕자 알렉산더의 개인 교사가 되었다.아리스토텔레스3 년 후에 알렉산더가 적극적으로 정치 문제에 관여하기 시작하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 테네로 돌아와서 그곳에다 리케이온 ( Lykcion, Lyceum )이라는 자기 자신의 학교를 창건하였다.이것이 ' 아테네의 네 학교들' 가운데 둘째번 것이었다. B. C. 323 년에 알렉산더가 죽고 아테네 사람들이 마케도니아의 침략에 대해서 더 공 공연하게 반기를 들 수 있게 되자, 아리스토텔레스..
플라톤의 이상주의에 대하여 공부하기 플라톤의 이상주의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그의 비판자들이 때때로 말한 바와 같이, 플라톤은 정치에 있어서 귀족 주의를 주창한 사람이었다. 능란한 변론가나 웅변가가 의회에 미치는 따위 의 영향을 그는 절대 불신하였다. 이상적으로는 국가를 지배하는 진정한 기술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야심가가 너무나 손쉽게 이용하려고 덤비는 사이비 기술이 있다.플라톤의 이상주의플라톤은 아테네의 민중 ( 民衆 ) 이 자기가 존경하는 소 크라테스를 불경죄 ( 不敬罪 )로 다뤄 사형 선고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웅변 가들이란 자기 조국의 진정한 이익이 무엇이며, 이 진정한 이익을 증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무지할지라도, 대중의 편견을 교묘하게 이 용하는 재주를 가지고 있다. 모든 세상사에서는 사이비적 기술과 진정한 기술..
인식론에 대하여 공부하기 인식론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인식론 ( 認識論 ) 플라톤은 그의 모든 에서 속견 ( 俗見 )과 인식에 대하여 철저하고 절대적인 구별을 짓고 있다. 물론 속견과 인식과의 차이는 확실성의 정도 여하에 있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차이가 오직 확실성의 정도 여하에만 있다면 그 구별은 단지 상대적인 것에 불과할 것이다.인식론속견이 제 아무리 훌륭해도 개연성의 테두리를 넘지 못하는 것이며, 인식은 아 무리 못해도 절대 확실한 것이다. 이 차이 및 이 차이에 대한 설명의 배경을 이루는 것은, 속견과 인식이 각각 관계하는 두 종류의 대상 사이의 구 별이다. 이 점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입장을 받아들였고, 또 그것을 발전시켰다고 하겠다. 속견이란 일어나는 어떤 개별적 행위나 존재하는 어 떤 개별..
완전한 국가와 선한 인간에 대하여 공부하기 완전한 국가와 선한 인간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어떤 것의 좋은 상태는 그 사물의 가장 성숙한 모습, 즉 가장 완전히 발전된 모습에 있다고 하는 플라톤은, 그의 기본적 견해를 전개시켜 나감에 따라, 자연히 다른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또 답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리고 이 잇따른 문제들에 대한 해답에 의해 도덕 철학 ( 道德哲學 )의 체계를 형성하였다.완전한 국가와 선한 인간다른 문제 가운데에서 그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이다. 그 첫째는 그 성숙한 발달이 곧 인간적인 덕 ( 德 )을 이룬다고 하는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는 인간이 완성 단계에서 발견할 인격의 특질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셋째는 어떻게 하면 인격의 성장이 가장 효과적으로 촉..
아테네의 철학 : 교육설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테네의 철학 : 교육설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플라톤의 철학은 원래 윤리적 관심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결국 교육설을 세우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즉 인간의 본성과 인간의 완성 ( 完成 )에 관한 그의 견해가 원시적 본성을 완성이라고 할 궁극의 형태로 변형해 갈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탐구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가에 있어 서와 인간의 본성에서 각각 세 계급과 세 요소로 보았던 것과 같이, 국가 가 시민을 훈련하고 인간이 그의 올바른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세 가지 방 법을 나열하였다. 비록 엄밀하게 도식적은 아닐지언정 밀접하게 서로 연관된 문제에 대한 플라톤의 학설은 완전히 체계적이다.교육설즉 플라톤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세 가지 부분을 구별하였으며, 이것 이 올바른 관계를 맺을 때..
플라톤의 덕에 관한 사상에 대하여 공부하기 플라톤의 덕에 관한 사상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플라톤은 철학적 관심의 대상이 되는 많은 분야 윤리학, 정치학, 논리학, 인식론 · 미학, 형이상학 등의 문제들을 탐구하였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가장 큰 관심을 가졌던 것, 즉 그를 다른 분야에까지 이끌 어 간 핵심적 분야는 윤리학이었다. 플라톤의 덕에 관한 사상그의 가장 초기의 작품으로부터 가장 후기의 작품에 이르기까지 언제나 그가 직접 간접으로 그 의의를 음미하는 데 골몰한 제일 큰 문제는, 사람이 살아갈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삶이란 무 엇인가 하는 것이었다. 플라톤이 사람다운 훌륭한 삶을 다루는 데 있어서 기반을 이룬 것은, 양 립 할 수 없는 다른 견해들과 함께 이미 그 이전부터 회랍의 도덕적 전통 속에 간직되어 있던 개념이다. 그는 이 개념을 ..
플라톤에 대하여 공부하기 플라톤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아테네 귀족 출신이며 일반적으로 귀족 출신이 정치 생활에 뜻을 두는 것이 보통이었건만, 그는 한 번도 자기 조국에 서 정치에 발을 들여놓은 일이 없다. 성년기에 들어서자 소크라테스의 문하에 들어가 그가 장려하던 토론의 열렬한 참여자가 되었다. 일생을 통하여 그는 소크라테스의 철학적 탐구 정신과 목표와 방법의 감화를 받았다. 그리고 아테네에서는 적극적인 정치 활동을 하지 않았으나, 실제적인 면에 관심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플라톤그는 아테네에 아카데메이아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진 하나의 학교를 창설하였는데, 이것은 역사상 아테네의 네 학교들' 중에서 최초의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 중요성에 있어서도 가장 으뜸가는 것이었다. 세상의 평관에 의하면 이곳에서 그는 철학적 문제에..
소크라테스에 대하여 공부하기 소크라테스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소크라테스 ( S ö kratis, 469 ~ 399 B. C. 아테네에서 출생하여 그곳에서 생애를 마침. 그는 중류 가정 출신으로서 아버지는 조각가였고, 어머니는 산파였다. 그는 자기 아버지의 직업에 대해 훈련을 쌓았으나, 결국은 이 직업을 버리고 자기 자신과 가족의 부양 방책을 강구하는 데에는 뜻을 두지 않았던 것 같다.소크라테스그는 결혼하여 수명의 자녀를 두었다. 부인 크산티페 ( Xmmbippe )는 예로부터 남 편을 쥐고 흔든 사나운 여자로 전해 오고 있다. 그러나 만일 플라톤의 편이 믿을 만한 것이라면, 이들 부부의 관계는 서로 의가 두터웠다고 볼 수 있다. 그의 생애에 걸친 주요한 일은 도덕 문제에 대한 성 찰이었다. 그 는 자기의 말을 듣고 싶어 하는..
소피스트에 대해서 공부하기-2 프로타고라스는 예로부터 " 인간은 만물의 척도 ( 尺度)이다.'명제 ( 命題)로유명한 사람이다. 우리가 프로타고라스에 관해서 아는 것은 모두 가 이 명제 속에 내포되어 있는 사상의 부연 ( 敷衍)으로서다루어질 수 있을 따름이다. 프로타고라스는 모든 사물을 인간 자신에게 나타나는 대로, 그 리고 그것들이 인간 문제에서 맡아보는 구실에 의해서 판단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강조하고자 한 것같이 보인다. 그는 엘레아 학파나 피타고라스 학파나 그 밖의 식민지 철학자들의 우주론적 ( 宇宙論的 ) 내지 수리적 ( 數 理的 ) 사색과 같은, 자기에게는 환상적인 과장처럼 여겨진 것에 대해서는 거들떠보지도 않았다.소피스트들그는 엘레아학파로 하여금 감각의 자명성 ( 自明性 )을 배격하는 데까지 이르게 한 변증법적 방법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