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테네의 철학 : 교육설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플라톤의 철학은 원래 윤리적 관심에서 출발하였기 때문에 결국 교육설을 세우는 데에까지 이르렀다. 즉 인간의 본성과 인간의 완성 ( 完成 )에 관한 그의 견해가 원시적 본성을 완성이라고 할 궁극의 형태로 변형해 갈 수 있는 방법에 관하여 탐구하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가에 있어 서와 인간의 본성에서 각각 세 계급과 세 요소로 보았던 것과 같이, 국가 가 시민을 훈련하고 인간이 그의 올바른 발전을 이룩할 수 있는 세 가지 방 법을 나열하였다. 비록 엄밀하게 도식적은 아닐지언정 밀접하게 서로 연관된 문제에 대한 플라톤의 학설은 완전히 체계적이다.
교육설
즉 플라톤은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세 가지 부분을 구별하였으며, 이것 이 올바른 관계를 맺을 때는 자기가 분석하고 평가하고자 하는 통일된 완 전체를 가능케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플라톤의 교육설에 있어서의 음악과 체육은 기본적 훈련의 주요 과제로 되어 있다. 이에 대한 플라톤의 모든 논구 ( 論究 ) 가 전적으로 분명하지는 안 지만 질서 잡힌 국가의 젊은이들은 남녀를 막론하고 모두 이 두 가지 기본 적 학과의 훈련을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였음은 분명하다.
그것은 남녀의 성별에 따라 사회적 지위를 정하는 것을 원치 않았기 때문이다. 물론 국가 는 여자에 대해 산아 ( 產兒 )를 위한 건강한 조건을 조성하여 주도록 하기 위 해서 일정한 노역 ( 勞役 )을 면제해 주어야 한다고 그는 말하였다. 그러나 그 외의 점에 있어서는 남자나 여자나 생산자들의 보람 있는 생활이나, 전사들의 군대 생활, 지배자들의 정치적 생활에 참여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 래서 모든 젊은이들은 각자에 알맞을 정도로 음악과 체육의 훈련을 받아야 한다는 것이다.
누구든지 훈련으로부터 소득을 얻지 못하게 되는 시각은 바로 그가 교육 과정으로부터 밀려날 시각이 되는 것이며, 그가 밀려나는 시각부터는 그가 속할 사회적 계급이, 심지어는 특정한 계급 안에 있어서 의 지위가 결정되고 만다. 오직 음악과 체육의 훈련 과정을 마친 사람만이 지배자 계급에 필요한 변중법 ( 辨證法 )의 교육을 계속해서 더 받게 되는 것이다. 플라톤이 사용한 음악 ( music )이라는 말은 오늘날 영어가 지니고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많은 뜻을 내포하고 있다. 즉 음악은 희랍 사회에서 뮤즈 ( Muse ) 신이 주재하고 있는 예술 전반에 대한 명칭으로 되어 있다.
플라톤 이 세밀하게 다룬 주요한 부문을 보면, 문학과 음악이라고 불리어질 수 있 는 것이 포함되고 있다. 플라톤이 전체적 연구의 분야를 활용하려고 한 것 은, 사람의 태도를 온건하게 하고 감수성을 온화하게 하며, 자신의 취미의 가치를 판별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였다. 그는 당시에 실시되던 바와 같은 학과들이 이러한 유익한 성과를 올릴 수 있다고는 추호도 생각하지 않았 다. 그러므로 그는 이들 학과의 엄격한 감시와 단속을 주창하였다. 그는 신과 영웅에 관해서, 죽음의 공포에 관해서, 혹은 사악한 자가 행복하고 바른 자가 불행하게 되는 일에 관해서 엉뚱하게 이야기하는 것을 금하려고 하였다. 또한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너무 유약하든가 너무 횡포한 마음을 일으키게 하는 따위의 곡조를 연주하거나 화음을 사용하는 것도 역시 금해 야 할 것으로 보았다.
그러나 그는 조절된 예술은 도덕적 목적을 위해서 유익하게 이용될 수 있고 젊은 사람들의 마음속에 절제의 덕을 북돋워 줄 것이라고 믿었다. 아울러 체육도 도덕적 목적을 위해서 옹호하였다. 음악이 영혼을 위해서 좋듯이 체육도 신체를 위해서 좋다는 사람들의 말도 인정하였다. 처음에는 이 진부한 생각을 그대로 인정하였지만, 곧 이것을 수정하고 말았다. 그 까닭은 육체적인 원기, 건강, 체력, 미모 등은 비록 신체에 따르는 것이 기는 하지만 영혼에 대해서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것들은 정신을 청신하고 씩씩하게 해 주며, 강한 기질과 굳센 의지를 북돋워 준다. 국가의 견지에서 본다면 체육은 훌륭한 전사를 길러 내는 데 도움이 되며, 인간의 견지에서 본다면 용기의 덕을 기르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이다.
'서양철학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식론에 대하여 공부하기 (0) | 2024.12.28 |
---|---|
완전한 국가와 선한 인간에 대하여 공부하기 (0) | 2024.12.28 |
플라톤의 덕에 관한 사상에 대하여 공부하기 (0) | 2024.12.27 |
플라톤에 대하여 공부하기 (0) | 2024.12.27 |
소크라테스에 대하여 공부하기 (0) | 2024.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