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철학사 (25) 썸네일형 리스트형 헬레니즘 시대의 성격 아리스토텔레스로부터 성 ( 聖 ) 아우구스티누스에 이르는 약 700 년의 기간 은 아테네에서 회랍 문명이 절정에 이르렀던 시대와는 그 성격이 매우 관 이하였다. 아테네는 B. C. 5 세기에 페리클레스 치하에서 예술적 및 정치적으로 장관 ( 社觀 )의 극을 이루었다. 그리고 설혹 아테네가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에 이르러 그 지적 절정에 도달하였다 할지라도, 이들 두 사람은 역시 그들의 바로 직전에 달성된 이러한 업적을 쫓아 희망에 찬 사상을 품었다.헬레니즘 시대의 성격펠로폰네소스 전쟁은 그 여파로 많은 파멸을 가져왔다. 그것은 스파 르타의 승리였다기보다 아테네와 전 회랍의 패망이었다. 회랍의 도시 국가 는 영영 사라져 버렸고, 한때 그 안에 충만해 있었던 희망과 이상은 그와 더불어 시들어 갔다. 알렉산더..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주의적 전통 아리스토텔레스가 서양 문화의 발전에 미친 영향은 막대한 것이었다. 중 세 철학에 있어서는 흔히 아리스토텔레스를 ' 그 철학자 ( The Philosopher )'라 는 말로 불렀으며, 단테 ( Dante )는 그를 ' 지자 ( 知者 ) 들 가운데의 스승 ( the master of them who know )'이라고 특징지었다. 그러나 그의 영향은 주로 전체 철학 체계에서 떨어진 여러 독립적 부문에 있어서였다.자연주의적 전통그의 모든 저작을 일관하며 여러 분야에 걸친 그의 논구를 체계적인 전체로 연결짓고 있는 중추적 · 지배적 사상 면에서 온 그의 영향은 별로 많지 않았다. 그리고 영향을 미친 특수한 부문들도 그것 이후에 다른 철학 속에 들어올 때는 아리스토텔레스 자신의 진술 속에서 지니고 있던 의미가 .. 퀴레네-에피쿠로스 학파 퀴레네 - 에피쿠로스 학파의 전통은 쾌락주의 ( 快樂主義 )의 윤리설 ( 倫理 說 )을 최초로 옹호하고 나온 사상이다. 쾌락주의란 쾌락이 진정한 선 ( 善 ) 이요, 그 밖의 모든 것은 적어도 가치가 있다면 쾌락을 산출함에 있어서의 그 효용 때문에 가치가 있다고 하는 설이다. 처음의 퀴레네 학파의 쾌락주 외의 형태는 그 후의 에피쿠로스 학파의 쾌락주의와 기질상으로 볼 때 전혀 판이하다. 처음의 형태로부터 그 후의 형태에로의 쾌락주의의 변천은 회랍 적 로마 시대 철학의 일반적 성격을 드러내는 하나의 좋은 실례라 하겠다.퀴레네-에피쿠로스 학파퀴레네 학파 가운데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아리스팁푸스였다. 그는 소 크라테스의 명성에 이끌려 아테네로 가서 마침내 소크라테스와 사귀었어며, 자기의 중심 사상이 소크라테..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적 논구들은 총괄해서 아리스토텔레스의 논리학사물에 존재라는 성질이 따 르는 것처럼 사물에 관한 명제에는 진리 ( 또는 오류 )라는 성질이 따르게 마 련이다. 그리고 명제들의 구조와 상호 관계는 필연적으로 사물들의 구조와 관계에 의존하며, 또 이와 평행하여 갈 것이다. 어떤 존재와의 관련이 없이는 명제는 참도 거짓도 될 수가 없을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행상 ( 形 相 )을 파악할 때에만 인식에 도달할 수 있다는 플라톤의 주장을 시인하였다. 그러나 플라톤과는 달리 오직 형상이 어떤 실체에 관하여 올바른 술어로서 진술될 경우에만 그 형상의 통찰을 인식 ( 認識 )이라 할 수 있다고 말하였다. 실체란 ( 직접 또는 간접으로 ) 명제의 주어가 되는 것이며, 그 주어의 행상이나 혹은 형상의..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아리스토텔레스는 심리학 이외에도 자연의 많은 부면 ( 룸 面 )에 대하여 서 술하였으며, 생리학과 해부학 ٠ 천문학, 물리학에 관한 저술을 남겼다. 그리고 그는 점차 이 여러 방면으로 나뉘어지는 자연 연구 전반에 통하는 보 편적 전제들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즉 모든 특수 과학들이 사용하 고 있고 또 사용하여도 무방한 극히 보편적인 어떤 진리들이 있다고 보아 씨 던 것이다. 그리고 그는 이들 전제 내지 보편적 진리야말로, 설사 다른 과 학들보다 시간적으로는 뒤에 형성되었을망정 논리적으로는 앞서는 하나의 별개의 학 ( 學 )에서 명확하게 논의될 가치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그 가 자기의 연구를 통하여 전개시켜 간 이 별개의 학을 우리는 그의 형이상 학이라고 일컫는다. ' ..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설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설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국가 ( 國家 )에 대한 논술은 여러 면에 있어서 플라톤의 그것과 차이를 보여 주고 있다. 왜냐하면 아리스토텔레스의 관심은 현실적 문제를 위한 판단의 기준이 될 이상을 그리는 데 있었던 것이 아니라, 실 제로 따라야 할 최선의 방법을 정하는 데 있었기 때문이다.아리스토텔레스의 정치학설최초로 국가는 아마 그 성원들에게 단순히 생활상의 여러 가지 필수 조건을 확보해 주기위하여 형성되었겠지만, 나중에는 점점 더 광범위하고 더 많은 이상적 목 적을 위해서 이바지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국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잘 살 수 있게 해 주기 위해서 생겨났으며, 또 잘 살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존속해 가며 소중히 여겨지고 있는 것이다. 국가가 지향해서 ..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학은 그의 윤리학과 직결되어 있으며, 또 정치학 과도 직접 결부되어 있다. 인간의 기능은 다종 다양이어서, 그 기능들의 상호 관계에 관해서는 지도가 필요하다. 그리고 아무도 자기 혼자만으로서 충분하거나, 동료들로부터 떨어져서 자기의 정당한 기능을 성취할 수 없는 이상, 자기의 목적 실현은 반드시 유기적인 사회나 국가를 전제로 하게 된다.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학윤리학과 정치학은 아리스토텔레스에 있어서는 한 방향의 연구에 있어서의 서로 의존하는 두 부문이다. 윤리학은 어떻게 하면 사람이 가장 잘 살 수 있는가에 대한 고찰이다. 그리고 사람은 다른 사람들과의 유기적 관 계를 떠나서는 잘 살 수 없는 만큼, 윤리학이 자신의 목적을 달성하려면 불..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학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학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학 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학에 관한 논문은 일반적으로 ' 영혼에 관하여 ( Conceming the Soul )'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그렇지만 ' soul ( 영혼 )'이라는 말은 아리스토텔레스의 의중에는 없던 종교적 개념들을 암시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의 영어에 있어서는 전혀 분명치가 못하다. 그의 용어는 '프시케'라는 말이었으며, 이것은 오히려 ' 생명'이라고 번역하는 것이 좀 더 적합할는지 모른다.아리스토텔레스의 심리학함께 모여 자연의 체계를 이루고 있는 많은 실체들을 살펴볼 때 우리는 여기에 각양 각색의 종류가 있음을 알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우리는 더 나아가 이 여러 종류들을 하나의 계열, 즉 등급순으로 배열할 수가 ..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 ( 假定 ) 아리스토텔레스의 모든 성찰 속에는 하나의 근본적 신념이 나타나 있다. 이 신념이란, 궁극적으로 실재 ( 實在 )는 우리의 주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은 많은 구체적 · 개체적인 사물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근본적 가정사람과 동물과 식물, 막대기와 돌덩이, 산과 강과 바다, 해와 달과 별 등등 한이 없듯이 사물들은 얼마든지 있다. 이러한 많은 사물들을 가장 본래적 의미에서 실 재적이라고 주장하였던 것이며, 파생적 의미에서는 이러한 사물들의 여러 성질이나 그들 사이의 여러 관계, 혹은 그것들이 지니고 있는 그 밖의 상 태나 양상들도 역시 실재적이라는 것이다. 이 신념은 자기보다 먼저있었던 사람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하여 공부하기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트라키아의 스타게이라 출신으로 마케 도니아 왕의 시의 ( 侍醫 ) 니코마코스의 아들이었다. 16 세 때 플라톤의 아카데미에 들어가서 20 년 후 플라톤이 별세할 때까지 여기서 공부를 제속하였다. B. C. 343 년에 마케도니아의 젊은 왕자 알렉산더의 개인 교사가 되었다.아리스토텔레스3 년 후에 알렉산더가 적극적으로 정치 문제에 관여하기 시작하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아 테네로 돌아와서 그곳에다 리케이온 ( Lykcion, Lyceum )이라는 자기 자신의 학교를 창건하였다.이것이 ' 아테네의 네 학교들' 가운데 둘째번 것이었다. B. C. 323 년에 알렉산더가 죽고 아테네 사람들이 마케도니아의 침략에 대해서 더 공 공연하게 반기를 들 수 있게 되자, 아리스토텔레스.. 이전 1 2 3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