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양철학사

플라톤의 이상주의에 대하여 공부하기

반응형

 

플라톤의 이상주의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그의 비판자들이 때때로 말한 바와 같이, 플라톤은 정치에 있어서 귀족 주의를 주창한 사람이었다. 능란한 변론가나 웅변가가 의회에 미치는 따위 의 영향을 그는 절대 불신하였다. 이상적으로는 국가를 지배하는 진정한 기술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야심가가 너무나 손쉽게 이용하려고 덤비는 사이비 기술이 있다.

플라톤의 이상주의

플라톤은 아테네의 민중 ( 民衆 ) 이 자기가 존경하는 소 크라테스를 불경죄 ( 不敬罪 )로 다뤄 사형 선고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웅변 가들이란 자기 조국의 진정한 이익이 무엇이며, 이 진정한 이익을 증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무지할지라도, 대중의 편견을 교묘하게 이 용하는 재주를 가지고 있다. 모든 세상사에서는 사이비적 기술과 진정한 기술과의 차이가 분명하다. 요리사가 사람들의 미각을 만족시켜 줄는지는 모르지만, 무엇이 그들의 건강을 위해서 진실로 좋은가를 가르쳐 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익숙한 의사뿐이다. 보석 상인이나 화장품 상인은 사람들 의 몸치장을 해줄 수 있을는지 모르나, 무엇이 진실로 그들의 신체에 이로 운가를 말해 줄 수 있는 사람은 다만 숙달된 체육가뿐이다.

 

마찬가지로 정치에 있어서도 인기 있는 연설가는 자기의 웅변으로 투표자의 무리를 마 음대로 휘두를 수 있을는지는 모르지만, 정치적 활동의 본래 목적이 무엇 이며 그 목적을 위한 최선의 방법이 무엇인가를 그들에게 말해 줄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노련한 정치가 이외에는 없는 것이다. 인간에 관계되는 모든 일에 있어서의 플라톤의 목표는 사람들을 교육하여 그들로 하여금 사이비적 기술을 버리고 진정한 기술을 도야케 하려는 데 있었다. 진정한 기술이 란 그것들의 원리인 이론의 완전한 이해에 입각해서 도야되는 숙련을 말하 는 것이다.

 

이해 ( 理解 ) 는 모든 것의 탁월한 면을 밝혀 주는 이데아의 인식에서 시작되며, 서로 연관성을 가진 많은 이데아를 변증론적으로 파악하는 데에서 절정에 이른다. 오직 지혜로운 사람만이 진정한 기술자, 즉 익숙한 의사나 숙달된 체육가나 노련한 정치가일 수가 있다. 오직 건전한 교육의 모든 단계를 통과하여 이성의 경지에 오른 사람만이 국가를 다스리기에 적 합한 것이다. 그러나 플라톤의 귀족 정치 제창을 곡해해서는 안 된다. 그는 정치적인 문제나 그 밖의 인간적인 문제들에 대한 비판의 기준을 세우는 데 관심을 갖긴 했으나, 그렇다고 채택할 국가의 어떤 강령을 작성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그는 도덕적 및 지적 건전성의 중요함을 역설하였으며, 이 건전성 이 사람들 사이에 보급되고 있는 것으로는 생각지 않았다. 과연 그는 완전 한 국가에 대한 그의 이상 ( 理想 ) 이 어느 기회연가는 실제로 실현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고 고백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실현을 예언하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완전한 교육 제도를 세우기 위해서는 완전한 국가에 완전한 지배 자가 필요할 것이며, 또 완전한 지배자와 완전한 국가를 형성하기 위해서 는 완전한 교육 제도가 필요할 것이다.

 

플라톤은 실제적인 정세에 있어서 의 딜레마를 알고 있었으며, 그 자신 시라쿠사에서 개혁을 시도하였다가 실패하였다. 그로서는 사태가 진행하면 자연히 완전에 이르게 된다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일이었다. 만일 완전한 지배자와 확신에 찬 국가가 존재하게 된다면 머릿속에 그리던 완전의 영상 ( 映像 ) 이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었다. 그러나 재빨리도 이 주장에 덧붙여서 이러한 실현 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를 제시하는 것이 자기의 탐구 목적은 아니라고 말하였다.

 

그의 목적은 오히려 윤리적인 것이었으며, 그것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 가지 면을 가지고 있었다. 첫째로 완전한 국가니, 지혜로운 지배자니, 절제니, 정의 ( 正義 ) 니, 최선 의 교육 제도니 하는 것들의 심상-이와 같은 심상들은 판단의 중 요한 기준을 분명하게 확정해 주는 기본적 기능을 지니고 있다. 이것들이 이상 ( 理想 )을 나타내는 것임은 물론이다. 그라나 플라톤은 이상이라는 것을 본래 인간 활동의 장엄한 강령으로 여기지는 않았다. 그것은 실현될 수 도 있을 것이요, 혹은 실현되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우리는 그것 을 실현하도록 하여야 한다. 확실히 그것은 우리의 활동과 관련이 있다. 만일 그것들이 아무런 실제적 의의를 가지지 않는다면, 결코 이상이 아니 라 쓸모없는 환상에 그치고 말 것이다. 그러나 이상이란 원래 판단의 규범이다. 플라톤의 주장에 의하면, 인간의 행동은 만일 완전한 원리의 이해에 비추어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언제나 무질서하고 야성적이며, 심지어 악 덕한 경우도 많다고 한다. 우리는 주위의 사람들과 사건들에 있어서나 우 리 자신에 있어서의 선악의 정도에 대한 분명하고 정확한 이해가 없이는 훌륭하게 행동할 수가 없다.

 

하늘의 이상적 국가를 보고 있는 사람이 지상 의 나라를 볼 때는 오직 지상의 나라만을 보고 있는 사람 식으로는 결코 보 지 않을 것이다. 지혜로운 사람의 이상을 알고 있는 이는 자타를 막론하고 누구나가 이 이상에 의해서 평가되고 있다고 여길 것이다. 정의의 본질을 통찰하고 있는 사람은 이 지상의 부정에 대한 자기의 비판이 어떻게 하면 정당할 수 있을까 하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사람은 아 마도 자기 조국의 부정을 방지하거나 시정할 수가 있을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플라톤은 이 점에 대해서는 아무런 보증도 주지 않았고, 또 이에 관 심을 기울인 바도 없다. 그러나 그러한 사람은 제 자신의 생활이 소리 높 이 변화를 요구하고 있음을 알 것이다. 그는 어떠한 가능한 개혁이든 열망하였다. 그러나 특히 역설한 주장은, 모든 개혁에 필요한 선행 조건으로서 이해가 불가결하다는 것이다. 자타의 장단점을 바르게 평가함은 하나의 도 덕적 성취이다. 그리고 이 성취를 바탕으로 하여 사람은 사회 질서의 재건을 위한 도덕적 성취를 더 계속해 나갈 수도, 또는 그렇지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플라톤이 < 국가 편 >에서 논하고자 시도했던 것은 바로 그의 사상의 절정으로서의 이 점이었다. 그는 완전한 이상 국가의 심상을 가졌다고 해 서 실제로 이러한 국가가 생겨날 수 있다는 결론은 내리지 않았다. 그의 결론은 오히려, " 천상의 이상 국가의 영상을 보고 있는 사람은 자기 자신의 생활을 그것에 따라서 영위해 갈 수가 있을 것"이라는 주장이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