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57)
플라톤의 이상주의에 대하여 공부하기 플라톤의 이상주의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그의 비판자들이 때때로 말한 바와 같이, 플라톤은 정치에 있어서 귀족 주의를 주창한 사람이었다. 능란한 변론가나 웅변가가 의회에 미치는 따위 의 영향을 그는 절대 불신하였다. 이상적으로는 국가를 지배하는 진정한 기술이 있으나, 현실적으로는 야심가가 너무나 손쉽게 이용하려고 덤비는 사이비 기술이 있다.플라톤의 이상주의플라톤은 아테네의 민중 ( 民衆 ) 이 자기가 존경하는 소 크라테스를 불경죄 ( 不敬罪 )로 다뤄 사형 선고하는 것을 목격하였다. 웅변 가들이란 자기 조국의 진정한 이익이 무엇이며, 이 진정한 이익을 증진하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무지할지라도, 대중의 편견을 교묘하게 이 용하는 재주를 가지고 있다. 모든 세상사에서는 사이비적 기술과 진정한 기술..
인식론에 대하여 공부하기 인식론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인식론 ( 認識論 ) 플라톤은 그의 모든 에서 속견 ( 俗見 )과 인식에 대하여 철저하고 절대적인 구별을 짓고 있다. 물론 속견과 인식과의 차이는 확실성의 정도 여하에 있다고 할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 사이의 차이가 오직 확실성의 정도 여하에만 있다면 그 구별은 단지 상대적인 것에 불과할 것이다.인식론속견이 제 아무리 훌륭해도 개연성의 테두리를 넘지 못하는 것이며, 인식은 아 무리 못해도 절대 확실한 것이다. 이 차이 및 이 차이에 대한 설명의 배경을 이루는 것은, 속견과 인식이 각각 관계하는 두 종류의 대상 사이의 구 별이다. 이 점에서 플라톤은 소크라테스의 입장을 받아들였고, 또 그것을 발전시켰다고 하겠다. 속견이란 일어나는 어떤 개별적 행위나 존재하는 어 떤 개별..
완전한 국가와 선한 인간에 대하여 공부하기 완전한 국가와 선한 인간에 대하여 알아보려고 한다. 어떤 것의 좋은 상태는 그 사물의 가장 성숙한 모습, 즉 가장 완전히 발전된 모습에 있다고 하는 플라톤은, 그의 기본적 견해를 전개시켜 나감에 따라, 자연히 다른 많은 문제를 제기하고 또 답변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리고 이 잇따른 문제들에 대한 해답에 의해 도덕 철학 ( 道德哲學 )의 체계를 형성하였다.완전한 국가와 선한 인간다른 문제 가운데에서 그의 입장을 이해하는 데 가장 중요한 것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이다. 그 첫째는 그 성숙한 발달이 곧 인간적인 덕 ( 德 )을 이룬다고 하는 인간의 본성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둘째는 인간이 완성 단계에서 발견할 인격의 특질은 무엇인가 하는 문제이다. 셋째는 어떻게 하면 인격의 성장이 가장 효과적으로 촉..